아이패드 알뜰폰 개통 안 될 때
알뜰폰에서 데이터 전용 유심으로 아이패드에 사용하려고 할 때
'서비스 없음'이 계속 뜨는 경우에 해결법에 대해서 정리해볼게요.
아이패드 셀룰러 사서 개통할 생각에 신나서
유심 개통을 하고 꽂았는데 서비스가 없음이 뜬다 ㄷㄷ;;
순간 등꼴이 오싹해집니다. 설마 불량인가?
대부분의 경우 그냥 꽂으면 개통이 된다고 상담원 분들께서 그러시더라구요
그런데 저는 두대의 아이패드를 쓰면서 둘 다 혼자 개통된 적이 없어요 ㅠㅠ
자 그래서 오늘은 제가 겪으면서 해결한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상황
1. 패드용 유심(데이터전용 유심)을 개통해서 신난다
2. 패드에 꽂았는데 아무 반응이 없다. > 아 맞다 껏다 켜야지
3. 한 번 껏다 켰는데도 역시 반응이 없다. > 아 맞다 두 세번 하라 했지
4. 두 번 세번 네번 다섯번 껏다 켯다 안 된다. > 뭐야 왜이래? > 폭풍 검색
5. 일단 아이패드 통신 설정을 재설정 하면 된단다. > 역시 안 된다.
여기까지 오면 고객센터에 전화를 하게됩니다.
자 그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해결법
1.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확정기변을 요청한다.
이 방법은 어디 나갈 필요도 없고 시도해서 손해볼 일이 없는 안전한 방법이에요
전화하시면 확정기변에 대해 상담원분께서 언급 안 하실수도 있는데 그럴 때는
먼저 요청하셔야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어요. (다시 전화하려면 연결까지 오래걸리니까요)
이 방법이 imei값을 알려주면 해결된다는 많은 조언의 방법이에요.
2. 정상적으로 개통된 핸드폰에 유심을 꽂아서 개통 후 아이패드에 넣는다.
저도 전에 후기에서 알려드렸고 많이 알려진 방법인데요.
이걸 하는 이유는 아이패드가 음성형 패드가 아니라서
통신 전파가 발생하지 않아 자동 등록이 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되는 사람들은 뭘까요?ㅎㅎ)
그래서 폰으로 일단 개통을 하고 패드에 넣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간혹 이렇게 개통하고 확정기변까지 진행해야 패드에서 사용가능한 경우도 있어요
그렇지만 이 방법은 통신사에 따라 안전하지 않을 수 있어요...
알뜰폰은 메이저 통신사에서 망을 빌려와 사용하는거라
메이저 통신사 망의 규정을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데요
알려진 바로는 sk와 kt망은 폰유심과 패드 유심이 분리가 되어있다고 합니다.
유심제품 자체가 그런건 아니고 최초 개통을 무엇으로 했는지에 따라 서로 호환이 안된다고 하네요.
유플러스망은 서로 호환이 되어서 그나마 안전합니다.
그렇지만 kt,sk망에서도 성공했다는 후기가 있으니 무조건 안되는건 아닌거 같은데
제가 다시 문의하면서 3분의 상담원께 여쭤본 결과 서로 호환이 안 될 경우가 생기니
추천하지 않는다 하시더라구요...
만약에 폰에 넣었는데 폰유심으로 바뀌면 해지하시고 패드 유심으로 새로 사서 재개통 하셔야 하는
불상사가 일어나는데... 저는 그 불상사를 겪었습니다 ㅠㅠ 그래서 새로 유심을 샀더랬죠;;
3. 갤럭시탭 등 음성형 패드나 외산 자급제 폰 혹은 패드를 이용한다.
이건 2번처럼 날려먹을 일은 없는 방법이에요
제일 좋은 상황은 집에 갤럭시탭 lte지원 기기가 있으면 최고구요
자주 만나는 친구가 가지고 있어도 좋아요.
그렇지만 잘 찾아보셔도 주변에 갤럭시탭 있는 집을 찾기가 힘들고
있어도 대부분 사은품으로 받은 와이파이형이라 안되요 ㅠ
이런 상황을 다시 상담원 분께 말씀드리면
삼성플라자나 통신사 같은데 가서 갤럭시탭을 빌려서 꽂아달라고 부탁해보시는건 어떤지 안내를 받을 수 도 있어요 ;;;
전 실제로 3번 받았습니다...
가입할 때 아이패드는 이렇게 잘 안 될 수 있다고 안내 받은적도 없고 써 있는걸 찾아봐도 안 나옵니다.
물론 그냥 되는 사람도 있으니 고지를 안 한것일 수도 있지만 왠지 고객한테 떠 넘기는거 같아서 화가 나더군요...
상담원도 안타깝고 그러니 이런 안내를 하신거겠지만 대비가 안 되어있는 알뜰폰에 화가 나더라구요...
전 사실 민폐 같아서 이 방법을 안 쓰려다가 울며 겨자먹기로
전시제품을 찾으러 갔는데 아니나 다를까
전시제품은 와이파이 모델이거나 유심 슬레이 부분이 막혀있어요 ㄷㄷ;;
자 그럼 그 다음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외산 자급제 폰입니다.
일단 아이폰, 갤럭시 안 되구요.
아이폰 자급제는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해서 제외할게요..
그냥 공기계 안 되구요 외산 자급제여야만 합니다.
이 방법은 편법인데요 외산 자급제에 개통을 하게되면
iemi값이 외산 자급제 폰걸로 등록이 되는데 이걸 상담원 분께서 아이패드의 imei값으로 바꿔주는 방법입니다.
이건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에요
그래서 상담원에 따라 첫 상담에 이 방법을 알려주시는 분이 없을 수 있어요...
그래도 이 방법은 민폐까지는 아니여서 저는 삼성이나 통신사 가서 갤탭 빌리는것 보다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4. 유플러스 지점 방문해서 포스개통을 한다.
저는 이 방법을 제일 추천드리는데
문제는 유모비만 가능합니다. (유플러스 망을 쓰면 다른 알뜰폰도 가능할 수 있어요)
그래서 만약에 알뜰폰 회사 아무대나 사용하셔도 상관없고 1-3방법 다 안 되시면
그냥 유모비로 옮기셔서 직영점 방문하시는걸 추천드려요...
혹은 유모비 쓰시는데 자동 개통이 안 됐다.
그런데 집 근처에 유플러스 직영점이 있다!!
그럼 그냥 바로 직영점 가세요
괜히 상담원 연결 기다리며 시간 소비하고
될지 안 될지 모르는 방법 쓰는 것 보다 그냥 방문해서 해결하시는게 속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 방법은 민폐가 아니에요
유모비랑 유플러스는 제휴를 맺어서 직영점에서 약간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어요
그렇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가셔도 됩니다.
가셔서 유모비에서 아이패드 개통문제로 직영점에서 포스개통 안내 받았다고 얘기하시면
직원분께서 알아서 해주십니다.
(포스 개통 말 안하시면 '그래서 저희가 어떻게 해드리면 되죠?' 라는 표정으로 쳐다 보실 수 있어요
이 분들도 알뜰폰 손님은 많이 없으시기에 경험이 없을 수 있거든요)
가실 때 패드와 유심가져가시고 반드시 신분증 지참하셔야 개통이 되요.
1-3방법들도 결국에는 개통이력 만드는 거라서 그냥 포스 개통 한방이면 해결 됩니다.
제일 간편해서 저는 강력 추천드려요!
정리
알뜰폰에서 아이패드 개통이 안 될 때 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봤는데요
제가 5일동안 개통하려고 시도하면 만난 상담사만해도 10명 정도 됩니다.
이분들 중에서 이 상황을 단번에 캐치하고 계신 분은 딱 한 분 계셨어요.
아마 경험을 많이 해보신 분이 아닐까 싶어요.
많은 상담원 분들께서 전화 하면 잠시만 기다려 달라 하시면서 알아보고 오시는데요
그럼 대부분 돌아오는 말은 아이패드는 원래 그래요 라는 말이에요...
그래서 1번 방법을 먼저 알려주시고 3번 방법을 알려주시면서
갤탭을 찾으라고 하시는데 그럼 이걸 내가 왜 찾아서 해야하지? 난 고객인데?라는 생각과 함께 현타가 오는데요...
그래서 다른 방법을 여쭤봐도 죄송하다는 말 만 돌아옵니다..
물론 상담원분의 말은 이해가 되지만 준비가 안 되어있는 통신사에 대해서는 화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평소에 기기운이 없으시다면
아이패드 알뜰폰 통신사는 유모비를 선택하셔서 바로 직영점 가시는걸 강력 추천드려요!!
m1 맥 롤!! (0) | 2022.01.10 |
---|---|
인터넷 서핑 추천 필수 앱!! (0) | 2022.01.09 |
맥용 한글 구입 추천과 비추천 (0) | 2022.01.06 |
아이패드 셀룰러 개통기 (with tips)feat. 알뜰폰 (0) | 2022.01.04 |
맥용 한글 2014vp 미리보기 안 될 때!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