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문법] 관계대명사 (that절의 형용사적 역할)

영어

by 길잇IT 2022. 2. 10. 22:19

본문

애증의 문법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관계대명사는 영어와 땔래야 땔 수 없는 문법이죠

 

.

학교를 졸업해도 영어로 된 글을 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문법이라 확실히 알아야 하는 문법이에요~

하지만 개인적으로 필수 문법 중 관계대명사가 제일 쉬운 거 같아요

이만큼 중요하면서 간단한 문법은 없지 않을까 싶어요~

관계대명사란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대명사의 역할을 해서

관계대명사라고 불러요~

개념

우선 관계대명사를 이해하려면 형용사를 이해해야 해요~

 

왜 갑자기 형용사냐구요?

왜냐하면

형용사의 핵심 역할인 명사 수식이 관계대명사의 개념에서도 핵심이기 때문이에요~

 

형용사는 단순히 단어 한 개나 두개로 명사를 수식하는데요

사람이 살다 보면 단어 몇 개로 만 특정 대상을 표현한다는 건 불가능하죠

그렇기에 관계대명사가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바로 문장으로 명사를 수식해 주는 것이죠~

이 수식을 받는 명사를 우리는 선행사라고 불러요~

예를 들면 형용사가 수식할 때는 예쁜 소녀 이렇게 설명이 가능하지만

관계대명사로 수식을 한다면 예쁜 옷을 입고 있는 소녀,

한강 공원에서 아빠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소녀 등과 같이

명사를 자세하게 수식할 수 있는 것이죠

 

 

종류

관계대명사는 주격 관계대명사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나뉘는데요

이름에서 나타내듯 관계대명사가 주어를 대신하면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어를 대신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관계사

관계대명사에서 관계사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와 사물과 동물일 때로요~

선행사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사람
who / that
whom / who / that
사물 / 동물
which / that
which / that

목적격 관계대명사에서 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에는

원래는 목적격인 whom을 써줘야 하지만 대체로 who로 통일하는 분위기예요~

 

또한

사람이냐 사물이냐 와 상관없이 that을 쓸 수 있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that을 사용하지만

 

포멀한 경우에는 주격일 때는 who와 which

목적격일 때는 whom과 which로 구별을 해주는 게 좋아요~

형태

주격 관계 대명사

주어 + 동사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관계대명사 뒤의 주어에 괄호를 쳐놨는데요~

바로 저 주어가 없어지고 관계대명사가 주어의 역할을 수행하게 돼요~

그걸 우리는 주격 관계대명사라고 부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주어 + 동사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 (목적어)

주격 관계대명사와 주절을 똑같지만

주격 관계대명사는 관계 사절의 주어가 없지만

목적격 관계대명사에서는 목적어가 없어집니다.

관계대명사가 목적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그걸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구분

관계대명사 절에서 주어 자리에 주어가 없으면 주격

관계대명사 절의 동사의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해석

해석은 형용사처럼 해석을 해서

~하는, ~하고 있는

정도로 해석을 해주시면 돼요~

예문

예문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I can’t find the book which my mother gave me a year ago. (목적격)

1년 전에 엄마가 준 책을 찾을 수가 없다.

선행사는 the book이고 사물이니 which / that을 쓸 수 있겠죠~

그리고 관계대명사 절에서 동사 gave의 직접 목적어가 없으니

이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라고 볼 수 있어요~

관계대명사는 문장을 두개로 나눌 수 있는데요~

처음에 연습할 때 나눠서 연습해 보면 도움이 됩니다.

I can’t find a book. 나는 책을 찾을 수 없다.

My mother gave me the book a year ago.

1년 전에 엄마가 책을 주셨다.

내가 찾을 수 없는게 책이고

작년에 엄마가 주신것도 책이므로

책이라는 단어가 겹치게 되죠

그래서 겹치는 단어 중 뒤의 단어를 지워주고

겹치는 단어 중 남아 있는 book 뒤에 관계대명사를 써주고

남은 문장을 붙여주면 됩니다~

My mother bought me the earphone which I wanted to have. (목적격)

엄마가 내가 가지고 싶었던 이어폰을 사주셨다.

이어폰은 사물이니 which나 that을 써줍니다.

이 문장도 관계대명사 절의 have의 목적어가 없으니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My mother bought me an earphone.

엄마가 이어폰을 사주셨다.

I wanted to have an earphone.

나는 이어폰을 가지고 싶었다.

엄마가 사주신 이어폰이랑 내가 가지고 싶었던 것이

이어폰으로 같으므로

중복되는 이어폰을 지워주고 남아있는 이어폰 뒤에 관계대명사를 써준 후

남은 문장을 붙여주시면 돼요~

I know a man who is from Spain. (주격 )

나는 스페인에서 온 남자를 안다.

남자는 사람이니 who나 that을 써주시면 돼요

이 문장은 관계대명사 절에 주어가 없으니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I know a man.

나는 남자를 안다.

He is from Spain.

그는 스페인에서 왔다.

내는 남자를 알고

그는 스페인에서 왔으므로

a man과 he는 같은 사람을 나타내고 있기때문에

뒤의 he를 지워주고 a man 뒤에 관계대명사를 써준 후

남은 문장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He painted a mother who was looking at her child. (주격 )

그는 아이를 돌보고 있는 엄마를 그렸다.

엄마는 사람이므로 who / that

관계대명사 뒤에 주어가 없으니 주격 관계대명사

This is the movie that I really wanted to see before. (목적격)

이 영화는 내가 전에 정말로 보고 싶었던 영화이다.

movie는 사물이니 which / that

관계대명사 절의 to see의 목적어가 없으니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to 부정사는 준동사로써 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to 부정사가 타동 사면 목적어를 취해야 합니다.

This is a movie. I really wanted to see the movie before.

I will buy you a camera which you wanted to have. (목적격)

네가 가지고 싶었던 카메라 내가 사줄게.

이 문장도 관계대명사 절의 to 부정사인 to have의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This is the watch which was made in Korea. (주격)

이 시계는 한국에서 만들어졌다.

관계대명사 절의 주어가 없으니 주격 관계대명사겠죠?

He has a dog which runs very fast. (주격 )

그는 아주 빠른 강아지를 키우고 있다.

역시 관계대명사 절의 주어가 생략되어 있으니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정리

내용이 길어졌는데요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관계대명사는 접속사이면서 대명사의 역할을 하며

명사(선행사)를 수식해 주는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나뉘며

관계대명사 절에 주어가 없으면 주격

동사의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이라고 보시면 돼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눌러주세요:)

관련글 더보기